미국 대선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트럼프 후보 재집권 가능성으로 강달러 흐름이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원달러 환율 차트를 보면 최근 한 달 동안 많이 오른 상태입니다. 달러 강세는 한국 기준금리에도 영향을 끼칠 전망인데요.
한국은행 총재는 다음 11월 금리 결정시 원달러 환율 전망이 새로운 고려 요인이 될 것이라고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원달러 환율 차트를 통해 현재 글로벌 금융 시장과 한국 경제 사이의 긴장 관계를 엿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강달러 흐름 속에서도 유독 원화가치 하락세가 두드러지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강달러 흐름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후보가 한발짝 앞서가는 상황으로 재집권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트럼프 경제정책은 강달러 흐름을 더욱 부추길 가능성이 큽니다. 왜냐하면 고율관세와 대규모 감세정책을 통해 미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단기적으로 미국 경제를 부양하고, 달러화의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소로 작용해 달러 강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 전망과 원화 가치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 자연스럽게 원화 가치는 하락하게 됩니다. 원달러 환율 전망이 상승으로 가면서 원화가 약세를 보일 때, 한국 경제는 몇 가지 부담되는 것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수입 물가 상승이 있는데요. 원자재와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면서 국내 물가도 덩달아 오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인하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한국 기준금리 인하 부담 전망
한국은행이 물가를 안정시키고 경제성장 촉진을 위해 기준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도 있지만, 쉽지가 않습니다. 왜냐하면 환율이 불안정한 가운데 기준금리를 인하할 경우, 자본 유출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저금리로 투자 매력도가 낮아지면 해외 자본이 빠져나가면서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국 트럼프 후보의 재집권이 확정되고 강달러 기조가 이어질 경우, 한국 기준금리 인하 전망은 동결로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됩니다. 원화 가치 하락과 자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한국은행은 신중한 태도를 취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경제,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연준 금리인하와 트럼프 당선 달러 시대 바라보기 (4) | 2024.11.08 |
---|---|
중국 판호 발급, KRX 게임TOP10 지수 상승 (3) | 2024.11.07 |
은행 배당 ETF로 배당주 투자 살펴보기 (0) | 2024.10.25 |
엔화 가치 하락과 미국 채권 투자 전망에 대한 미 대선 고찰 (0) | 2024.10.24 |
성공하는 연금투자, 한화자산운용 PLUS 미국성장주 ETF 살펴보기 (4) | 2024.10.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