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연준이 금리인하를 2회 연속 실시했네요. 미국시간으로 11월 7일 미연준은 0.25% 포인트 금리 인하를 발표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지난 9월에 이어 이번 11월에도 금리를 인하한 것인데요. 이번에 금리인하 발표는 트럼프 당선 이후 이틀 만에 발표되는 시기인지라 주목도가 높았습니다.
미연준 Fed의장인 제롬 파월에게 건네진 첫 번째 질문도 트럼프 당선과 그 영향성이었는데요. 제롬 파월 의장은 트럼프 당선이 금리 정책 결정방향에 당분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금리 인하 발표는 11월 5일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된 지 얼마 안돼서 발표된 것인데요. 트럼프의 재집권은 감세, 고율관세, 이민 등 정책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는 미국 경제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데요. 트럼프의 경제 공약이 긍정적 일지, 아니면 인플레이션을 자극해 악화될지 의견이 분분한 상태입니다.
트럼프 당선 이후 달러도 살펴봐야 하는데요. 벌써 부터 환율이 올라서 강달러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미 미국 대선 전부터 나타났던 현상이지요. 환율 1400원을 찍고 1300원대 후반에서 왔다 갔다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환율 상승은 우리나라 실물경제에도 영향을 미치는데요. 환율이 오르면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줄어들고 수입물가는 상승하게 됩니다. 원자재 수입가격, 에너지 수입 가격 상승 등 물가 상승 압력을 받게 될 것입니다.
미연준의 금리 인하가 이어질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지만, 트럼프의 정책 변화로 변수가 있습니다. 아울러, 강달러는 한국 은행의 금리 인하 여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겠죠. 원화가치 하락여부에 따라 환율이 더 치솟을 수도 있으니까요.
환율 1400원을 뉴 노멀로 봐야한다는 의견도 있는데요. 강달러가 지속되면 한국은행 기준금리 발표와 향후 물가 상승 압력을 실감하게 될 것 같습니다.
'경제,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가격 시세 처음으로 8만달러 넘어섰다. (2) | 2024.11.10 |
---|---|
k조선 관련주와 미국 조선업간 신동력 기대감 (2) | 2024.11.09 |
중국 판호 발급, KRX 게임TOP10 지수 상승 (3) | 2024.11.07 |
트럼프 강달러 흐름 속 원달러 환율 차트로 본 한국 기준금리 전망 (0) | 2024.10.28 |
은행 배당 ETF로 배당주 투자 살펴보기 (0) | 2024.10.25 |
댓글